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

Control Valve Datasheet 작성법 - 1 Control Valve 는 공장에서 유체를 제어를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Control Valve 를 구매하기 위한 Datasheet 작성법을 알아 보고자 합니다. 보통 Control Valve의 Tag를 신규로 생성할 때 Control 대상에 따라 Tag Name 이 결정됩니다. 유량을 Control 할 때에는 Flow Control Valve, Level 을 Control 할 때에는 Level Control Valve, Temperature 를 Control 할 떄에는 Temperature Control Valve, Pressure 의 경우는 Pressure Control Valve 등으로 명명하기도 합니다. Flow + Control Valve, FCV 또는 FV.. 2023. 3. 4.
현장계기 (Field Instrument) 란? 일반적으로 플랜트 운영시 가장 중요한 것이 기계, 배관, 계측기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내용을 반영한 도면을 P&ID라고 합니다. P&ID 는 Piping & Instrument Diagram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 이해하자면 배관 및 계측기 구성도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조업을 비롯하여 정유, 석유화학, 발전 등 플랜트 산업에 있어서 공정 대부분은 유체를 특정 조건에서 가열/냉각하거나 여러 유체를 반응시켜 이를 통한 공정을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Pump 나, Blower를 사용하고, 유체를 압축하거나 냉각시키기 위해 압축기(Compressor) 나 냉동기 (Refrigerator)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송은 대부분 적정 사이즈의 배관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원재료를.. 2023. 3. 3.
하인리히의 법칙과 재해의 5단계 예측할 수 없는 사고는 없다. (우연한 사고는 없다) 1930년대에, 여행자 보험 회사의 직원인 윌리엄 허버트 하인리히는 7만 5천 건의 사고사례들을 조사하며 통계를 내보면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고 산업현장에서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획기적인 이론을 발표했습니다. 그중 하나는 하인리히의 법칙으로 알려지게 되었는데요. 1 : 29 : 300의 법칙으로 알려진 하인리히 법칙, 중대재해(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같은 원인의 29건 정도의 경미한 사고와 약 300번가량의 사고징후(고장 포함, 무상해사고)들이 나타난다는 내용입니다. 실제로 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조사해 보면 이러한 내용들이 쉽게 증명되기도 합니다. 안전수칙 등이 쉽게 간과되는 현장이라든가, 안전이 무시되고 있는 현장에서 그 상황을 아무도.. 2023. 3. 3.
허용되는 공학용계산기 안녕하세요. 기사시험이나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다보면 계산문제의 경우 공학용 계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아무 계산기나 다 사용이 가능한 것은 아니고, 국가기술자격 공학용 계산기의 기종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혹시라도 수험장에 들어가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미리 변경된 규정사항을 잘 숙지하여 시험보시면 좋겠습니다. [국가기술자격 공학용계산기 기종 한정] 적용시기 - 기능사 : 2019.1.1부터 -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 2020.7.1부터 - 기능장 : 2022.1.1부터 적용대상 국가기술자격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기능사 등급 전 종목 수험자 주요내용 기종 허용군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그 외 제조사 및 기종의 공학용계산기는 사용불가 기술사 등급 허용군 공학용계산기 사용가능.. 2023. 3. 2.
반응형